- p.26-28 가운데 일부 발췌 -
현상계생물의 생명활동은 자연의 변화에 적응하여 생명을 유지하고, 종의 번식을 이어가기 위한 생물체의 생명적 본능(生命的 本能, vital instinct)에서 비롯되며, 생명적 본능은 생물체들이 계통적인 지위선상에서 획득한 생명에너지발현능력과 이에 상응하는 의식체계적인 능력에 따라서, 스스로가 존재하는 현상계의 시공간(時空間, space-time)을 의지하여 일어나는 모든 물리화학적 현상으로부터 체험한 경험을 자아(自我, Self, Ego)의 관념적 판단(觀念的 判斷, notional judgment, 고등생물에서)과, 여러 가지 의식체계적인 다형성에 의해서 축적(蓄積, accumulation)해 온 생명현상에 대한 자아적인 분별능력의 무의식적 발현이고, 진화는 생명체가 현상적 자연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자연선택에 의한 적자생존의 토대 위에서 자연과 생태계 생명공동체 상호간의 상리공생적인 조화(相利共生的 調和, mutual agreement)와 생체 내부의 또 다른 단위생명체인 세포들의 생명에너지발현체계의 공동화(共同化)를 이루면서, 자연생태계의 필연적인 생존경쟁(生存競爭, the struggle for life)에서 생존과 번식을 이어 나아가고, 생명체로서 최적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명활동의 본능적 과정이며, 이 가운데서 생명체가 분별의식에 의한 사고력, 분별력, 판단력으로 생태계의 변화를 스스로의 생리에 유리하도록 선택하여 이용하며 적응하는 것이 능동적 진화(能動的 進化, active evolution)이고, 분별의식의 결여로 생태계의 이화학적 변화를 무의식적 반응으로 받아들여 생리적으로 극복하며 적응하는 것이 수동적 진화(受動的 進化, passive evolution)이다.
그러므로 생명체의 진화는 자연생태계의 변화에 적응하여 다세포생물들은 생명체 내부구성원들인 또 다른 단위생명체인 세포들의 이합집산과 개체조절로, 하나의 단위생명체로서 최상의 생명에너지를 발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단세포생물은 하나의 세포가 생명체로서 생태계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최대의 생명력을 발현하기 위한 노력이며, 이러한 노력에 의하여 다세포들이 공동적으로 하나의 생명에너지로 발현할 수 있는 의식체계와 그 발현기능이 함께 발달한 생명체일수록 생태환경의 변화에 능동적 진화로 적응하고, 의식체계와 발현기능의 발달이 저조할수록 수동적 진화의 양상을 보이면서 생태환경에 적응하며, 단세포생물들은 단세포생물로서 한정된 생명에너지 발현능력 내에서 또 다른 모습의 적응양상을 구현한다.
적응은 진화과정에서 생명체가 자연환경의 생태적 변화를 스스로의 개체적인 생리조건에 맞추어 순응하면서 집단(集團, population) 내의 공동체의식(共同體意識, community spirit)과, 상호의존적인 군집성(相互依存的 群集性, interdependent communality)을 바탕으로 생존과 종의 번식에 유리한 방향으로 선택한 진화의 결과이며, 진화적 적응의 결과는 유전적인 변형과 더불어 분화(分化, speciation=종분화)에 의한 종의 다양성(多樣性, diversity=종 다양성인 species variety)으로 나타나고, 종은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과 무성생식(無性生殖, asexual reproduction), 이분법(二分法, binary fission) 등에 의한 동일한 개체발생(個體發生, ontogeny) 방법으로 분화되어 진화노선(進化路線, evolutional lineage)상의 일정기간 동안 계통발생적 군집사회(系統發生的 群集社會, phylogenetic community)를 형성하고, 군집을 형성하는 개체(個體, individual)들의 전형질적 유연관계(全形質的 類緣關係, phenetic relationship)와 분계적 유연관계(分系的 類緣關係, cladistic relationship)를 포함하는 계통적 유연관계(系統的 類緣關係, phylogenetic relationship)에서, 생물계통학적 수준의 일정한 형태(形態, morphology)와 형질(形質, character)의 유전적 공통성(遺傳的 共通性, genetic community)과 유사성(類似性, similarity), 그리고 생식행태(生殖行態, reproductive behavior)적인 공통성 및 유사성과 생물계통적 지위의 공유의식을 가진 생물집단(生物集團, organic population)들의 계통분류학(系統分類學, systematics)적인 지위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식물과 동물 및 미생물들은 서로 더불어, 각각 자연계 생물들의 상리공생적인 생명활동의 한 축을 담당(擔當)하면서, 서로가 자연계 생명체들의 생명활동에 필요한 터전을 제공하고, 자연계 생태순환의 상호조절자(相互調節者, inter regulator)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자연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의 각각의 책임을 다하고, 생명체들의 상호의존적(相互依存的)인 진화의 장(interdependently evolutional field)(註5)을 이끌어 가는데 절대적으로 기여(寄與)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