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특산식물
특산식물(特産植物, specialized plants)은 인근의 울릉도가 특산인 갯장대, 섬괴불나무, 섬초롱꽃 등 3분류군이며, 면적이 좁고, 생성연대가 짧은 화산섬의 특성상 본섬의 고유종(固有種, endemic plants)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종자학적 특징과 종유입 과정에 의한 분포
독도 유관속식물의 종자학적 분류군은 종자식물(種子植物, seed plant)이 61분류군이고, 포자식물(胞子植物, spore plant)이 1분류군이다. 종자의 형태적 특징과 산포특징에 의한 유입(seed introduction)방식으로는 풍산포(風散布, anemochore)종이 39분류군이고, 조류산포(鳥類散布, zoochore)종이 12분류군이며, 해류산포(海流散布, hydrochore)종이 1분류군인 것으로 판단되고, 이외의 종들은 인위적인 식재종(人爲的植栽種, artificial cultivar)이거나, 재배종(栽培種, cultivated plant species)으로, 자생식물은 대부분이 종자의 원거리산포능력(遠距離散布能力, distance dissemination ability)이 크고, 장거리분산기구(長距離分散機具, long-dispersal mechanism)를 갖춘 종으로 구성되었다.(표-5)
바람산포(風散布, anemochore)종은 삭과(蒴果, capsule), 수과(瘦果,achene), 포자(胞子, spore) 등 종자의 장거리 분산기구를 갖추고 무게가 가벼워 바람에 의한 장거리 이동조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독도에 자생하는 유일한 양치식물문(羊齒植物, Pteridophyta)인 도깨비쇠고비(Cyrtomium falcatum (L.f.) C.Presl)는 포자의 무게가 가벼워, 바람에 의한 장거리 이동이 다른 식물에 비하여 가장 유리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화과의 방가지똥(Sonchus oleraceus L.)과 민들레(蒲公英,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해국 등은 관모(冠毛, pappus)를 가지고 있어 미풍(微風)에도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개밀(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바랭이(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돌피(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등의 벼과식물은 종자의 무게가 가볍고, 기저부(基底部, basal)에 생긴 털이 비산(飛散, scattering)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류(鳥類, birds)에 의한 동물산포(動物散布, Zoochore)종은 비짜루, 개머루(Ampelopsis heterophylla (Thunb.) Siebold & Zucc.), 댕댕이덩굴(Cocculus trilobus (THUNB.) DC.) 등이며, 핵과(核果, drupe), 장과(漿果, berry) 등 동물의 기호성 과실(嗜好性果實, palatability fruit)을 가지는 종이 대부분으로, 독도에 계절적으로 방문하는 철새(季節鳥, migratory birds)의 소화기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류산포종으로서 번행초와 같은 종은 매우 강한 과피(果皮, pericarp)를 지니고 있으며, 과피에 큐티클(cuticle)이 발달하고, 과실 내부에 공기를 저장할 수 있어 장시간 동안 해류(海流, sea current)를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5. 독도식물의 종자산포형 및 과실형질(Seed dispers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seed and fruit in Dokdo island)
분류군
|
산포형
|
과 실
|
과실크기(㎜)
|
과실색깔
|
Cyrtomium falcatum (L.f.) C.Presl 도깨비쇠고비
|
바람산포
|
포자
| ||
Pinus thunbergii Parl. 곰솔
|
인위적 요인
|
구과
|
45.0-130.0
|
녹갈색
|
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왕호장근
|
바람산포
|
수과
|
3.0
|
상아색
|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
바람산포
|
수과
|
3.0
|
갈색
|
Rumex japonicus Houtt. 참소리쟁이
|
바람산포
|
수과
|
2.5
|
녹색
|
Atriplex gmelinii C.A.Mey. 가는갯는쟁이
|
바람산포
|
포과
|
1.5
|
녹색
|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
바람산포
|
포과
|
1.0-1.3
|
녹색
|
Chenopodium virgatum Thunb. 가는명아주
|
바람산포
|
포과
|
1.0-1.3
|
녹색
|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
바람산포
|
포과
|
2.5
|
녹색
|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번행초
|
해류산포
|
견과
|
10.9±0.8
|
갈색
|
Portulaca oleracea L. 쇠비름
|
바람산포
|
삭과
|
0.5
|
녹색
|
Dianthus longicalyx Miq. 술패랭이꽃
|
바람산포
|
삭과
|
20.0-30.0
|
녹색
|
Sagina maxima A.Gray 큰개미자리
|
바람산포
|
삭과
|
4.0-6.0
|
갈색
|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
바람산포
|
삭과
|
3.5
|
녹색
|
Cocculus trilobus (Thunb.) DC. 댕댕이덩굴
|
조류산포
|
핵과
|
50.0-80.0
|
암청색
|
Corydalis platycarpa (Maxim.) Makino 갯괴불주머니
|
바람산포
|
삭과
|
25.0-35.0
|
녹색
|
Arabis stelleri DC. 갯장대
|
바람산포
|
견과
|
40.0-60.0
|
녹색
|
Brassica juncea (L.) Czern. 갓
|
인위적 요인
|
장각과
|
25.0-50.0
|
갈색
|
Rhaphanus sativus L. 무
|
인위적 요인
|
각과
|
40.0-60.0
|
녹색
|
Sedum oryzifolium Makino 땅채송화
|
바람산포
|
골돌과
|
5.0-6.0
|
녹색
|
Sedum takesimense Nakai 섬기린초
|
바람산포
|
골돌과
|
5.0-6.0
|
녹색
|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
바람산포
|
삭과
|
20.0
|
녹색
|
Euonymus japonicus Thunb. 사철나무
|
조류산포
|
삭과
|
8.0-9.0
|
붉은색
|
Ampelopsis heterophylla (Thunb.) Siebold & Zucc. 개머루
|
조류산포
|
장과
|
8.0-10.0
|
암청색
|
Hibiscus syriacus L. 무궁화
|
인위적 요인
|
삭과
|
12.0
|
녹색
|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
|
조류산포
|
삭과
|
30.0-50.0
|
상아색
|
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참외
|
인위적 요인
|
장과
|
100.0 이상
|
황색
|
Elaeagnus macrophylla Thunb. 보리밥나무
|
인위적 요인
|
핵과
|
15.0-17.0
|
붉은색
|
Cnidium japonicum Miq. 갯사상자
|
조류산포
|
분열과
|
3.0
|
녹색
|
Oenanthe javanica (Blume) DC. 미나리
|
인위적 요인
|
분열과
| ||
Lysimachia mauritiana Lam. 갯까치수염
|
바람산포
|
삭과
|
4.0-6.0
|
갈색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
조류산포
|
골돌과
|
100.0
|
녹색
|
Ipomoea purpurea (L.) Roth 둥근잎나팔꽃
|
인위적 요인
|
삭과
|
10.0
|
녹색
|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토마토
|
인위적 요인
|
장과
|
50.0-100.0
|
붉은색
|
Solanum nigrum L. 까마중
|
조류산포
|
장과
|
6.0-7.0
|
흑색
|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초종용
|
바람산포
|
삭과
|
10.0
|
갈색
|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
바람산포
|
삭과
| ||
Lonicera insularis Nakai 섬괴불나무
|
조류산포
|
장과
|
8.0
|
붉은색
|
Campanula takesimana Nakai 섬초롱꽃
|
바람산포
|
삭과
|
녹색
| |
Artemisia japonica Thunb. 제비쑥
|
바람산포
|
수과
|
0.8
|
갈색
|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갯제비쑥
|
바람산포
|
수과
|
0.8
|
갈색
|
Artemisia koidzumii Nakai 율무쑥
|
바람산포
|
수과
|
0.8
|
갈색
|
Aster sphathulifolius Maxim. 해국
|
바람산포
|
수과
|
3.0-3.5
|
갈색
|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
바람산포
|
수과
|
3.0
|
갈색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민들레
|
바람산포
|
수과
|
3.0-3.5
|
갈색
|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
바람산포
|
수과
|
1.5-2.0
|
갈색
|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개밀
|
바람산포
|
수과
|
9.0-12.0
|
녹색
|
Bromus unioloides Kunth 큰이삭풀
|
바람산포
|
수과
|
9.0-12.0
|
녹색
|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
바람산포
|
수과
|
3.0
|
녹색
|
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돌피
|
바람산포
|
수과
|
3.0
|
녹색
|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
바람산포
|
수과
|
5.5-6.0
|
녹색
|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참억새
|
바람산포
|
수과
|
5.0-7.0
|
녹색
|
Poa annua L. 새포아풀
|
바람산포
|
수과
|
3.0-5.0
|
녹색
|
Setaria glauca (L.) P.Beauv. 금강아지풀
|
바람산포
|
수과
|
2.8-3.0
|
녹색
|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kino & Nemoto 갯강아지풀
|
바람산포
|
수과
|
0.8
|
녹색
|
Cyperus microiria Steud. 금방동사니
|
바람산포
|
수과
|
1.0
|
녹색
|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
바람산포
|
삭과
|
갈색
| |
Allium macrostemon Bunge 산달래
|
인위적 요인
|
삭과
| ||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비짜루
|
조류산포
|
장과
|
6.0
|
붉은색
|
Lilium lancifolium Thunb. 참나리
|
조류산포
|
주아
|
흑색
| |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맥문동
|
조류산포
|
장과
|
7.0
|
흑색
|
Maianthemum dilatatum (Wood) A.Nelson & J.F.Macbr
큰두루미꽃
|
조류산포
|
장과
|
5.0-7.0
|
붉은색
|
(5) 형태학적 특징(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생리생태적인 유효수분(有效水分, available water) 결핍과 유효질소화합물(有效窒素化合物, available nitro-compound) 결핍에 적응하기 위한 엽(葉, leaf)면적의 감소와 잎 표면의 왁스침적, 그리고 무기 환경으로 인한 체내의 과도한 무기물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모용(毛茸, trichomes)과 털(hairs)의 발달 및 액포(液胞, vacuole)의 대형화, 수분과 영양소 흡수증대를 위한 뿌리층(root layer)의 발달, 바람에 대한 적응과 환경적응적인 단기간 생장에 필요한 절간(節間, internode)의 단축 및 섬유질(纖維質, cellulose)의 발달, 해무(海霧, sea fogs)와 흐린 날씨에 때문에 야기되는 엽록소(葉綠素, chlorophyll)의 광합성제한과 이로 인한 엽록소 수의 증가 및, 엽육세포(葉肉細布, mesopyhpll cell) 수의 증가로 일어나는 잎 세포의 조직밀도(組織密屠, tissue density) 증가, 유효수분과 영양분 부족으로 인한 세포 크기의 감소와 세포벽(細布壁, cell wall)과 각피층(角皮層, cuticular layer)의 비후(肥厚, thickening, hyperplasia) 및 후벽조직(厚壁組織, sclerenchyma)의 발달, 무기 환경에 적응하여 물관부 유세포(柔細胞, parenchyma) 원형질막(原形質膜, plasma membrane) 이온의 전기화학적 기울기(electrochemical gradient) 조절을 위한 양성자펌프(proton pump)의 발달과, 수분채널(water channel) 및 다양하고 특이적인 이온채널(ion channel)의 발달, 기후와 토양 생태적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일년생초본 및 이년생초본의 뿌리 층의 숙존성 향상과, 다년생초본의 경질화(硬質化, hardening)를 포함하는 목질화(木質化, lignification)와, 목본화(木本化, woody) 현상 등의 형태해부학적 특성(形態解剖學的特性, morpho-anatomical characteristics)이 나타난다.
2) 식물군의 환경적응과 발생학적인 특징
대부분의 식물종이 식물생육에 비우호적인 환경조건에서 빠른 생활사(life cycle)를 가짐으로써 단기간생장과 종자결실에 유리한 무성생식체계(無性生殖體系, asexual reproductive system)의 발달과, 3세포성화분(3-celled pollen grain)을 갖추고(33분류군), 번식력이 강한 생리생태적 특성(生理生態的 特性,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및 발생학적 특성(發生學的 特性, embryo-logical characteristics)을 나타내는 종들과, 식물생육의 비우호적인 환경(非友好的 環境, unfriendly environment)에 대한 적응력이 강한 내환경성(耐環境性, environmental tolerance) 종으로 구성되었다.(표-6)
표-6. 3세포성화분을 가진 독도식물종(The list of plants with 3-celled pollen grain in Dokdo island)
Family
|
Taxa
|
Polygonaceae
|
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
Plygonum aviculre L.
| |
Rumex japonicus Houtt.
| |
Chenopodiaceae
|
Atriplex gmelinii C.A.Mey.
|
Chenopodium album L.
| |
Chenopodium album var. stenophyllum Makino
| |
Amaranthaceae
|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
Aizoaceae
|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
Portulacaceae
|
Portulaca oleracea L.
|
Caryophyllaceae
|
Dianthus longicalyx Miq.
|
Sagina maxima A.Gray
| |
Stellaria media (L.) Vill.
| |
Cruciferae
|
Arabis stelleri DC.
|
Brassica juncea (L.) Czern.
| |
Rhaphanus sativus L.
| |
Oxalidaceae
|
Oxalis corniculata L.
|
Primulaceae
|
Lysimachia mauritiana Lam.
|
Compositae
|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
Artemisia koidzumii Nakai
| |
Aster sphathulifolius Maxim.
| |
Sonchus oleraceus L.
| |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 |
Gramineae
|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
Bromus unioloides Kunth
| |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 |
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 |
Festuca rubra L.
| |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
Poa annua L.
| |
Setaria glauca (L.) P.Beauv.
| |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ranch. & Sav.) Makino & Nemeto
| |
Cyperaceae
|
Cyperus microiria Steud.
|
Commelinaceae
|
Commelina communis L.
|
3) 환경적응과 식물DNA 유전체의 변이(DNA sequence analysis)
실험결과로 나타난 염기배열과 염기서열분석결과는 염기배열판단기준과 염기서열분석방법에 있어서, 향후 입자분석기법의 에너지응집과 관계되는 사항이 많고, 복합적인 환경압과 유전자변형 사이에 상관되는 이화학적 변화와 에너지흐름을 중시하는 필자의 개인적인 염기배열분석 기준이 일반적인 단순 염기서열분석과 공유점이 적은 등, 여러 가지 개인적인 사정으로 게재(揭載)하지 않음을 사과드린다.